평소에 수냉블럭을 물려 사용하지만 그래픽카드 IDLE 상태일 때 전력사용량이 높아 전기세가 많이 나와서 이유를 찾아봤다.

코어클럭 1200MHz와 메모리 클럭이 항상 7000MHz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었다.


원래 이런건가 싶기도 한데 1대를 사용할때는 10W 가량이니 많아봐야 30W 먹는게 당연한거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역시나, 엔비디아 인스펙터를 활용하면 소비전력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아래는 적용 결과이다.





정말 이상적인 전력소모량으로 딱 절반이 줄었다.

4K 듀얼모니터를 사용하는 환경이 아니라면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데 하필 4K 두개 사용하는게 나였다 ㅡ.ㅡ


사용 방법은 NVIDIA Inspector를 다운로드 후 실행하고, Show Overclocking 버튼에서 우클릭하면 Multi Display Power Saver 선택할 수 있다.

Target GPUs에서 해당 그래픽카드를 선택해주면 된다. 윈도우 시동 시 마다 적용하려면 at Windows Startup 옵션을 활성화하면 된다.


By GPU Usage 항목을 조절해서 IDLE 상태의 퍼센티지를 정확히 맞춰주어야 프레임 드랍 현상없이 최적의 상태로 설정된다.

Target GPU만 체크하면 다른 3D 애플리케이션이 느려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끝!

모든 테스트가 동일한 조건에서 시행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데이터로 보드의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다는 점을 미리 참고 바랍니다.


인텔 Z490 메인보드를 직접 구매해 사용해볼 기회가 되어 Z490 오버클럭 시그니처 메인보드들을 일부 만져봤다.

메이저 3사에서 각각 내세우는 램 오버클러킹 포텐이 가장 높은 메인보드들이다.

공통된 특징으로 리뷰할 세 제품 모두 램슬롯이 2개이다.


간단 리뷰에 앞서 리뷰에 사용될 시스템 스펙을 간단히 정리하고 시작한다.


Specification

 파츠

 제품명

 비고 

 CPU

 i9-10900K (X016D744)

 VID 1.000v (MSI) / 1.003v (ASUS, SP 96)

 RAM

 지스킬 트라이던트Z 3200 CL14 로얄 골드

 최대 4700 CL16 안정화

 PSU

 시소닉 포커스 플래티넘 850W

 

 쿨러

 커스텀수냉 (CPU/RAM), VRM 스팟쿨링

 수온 26도 이상


GIGABYTE Z490I AORUS ULTRA (어로스울트라ITX)

제원

 #

 데이터

 비고

 Form Factor

 mini-ITX

 

 VRM (Vcore 전용)

 8 페이즈

 리얼페이즈 구성, 패시브 쿨링

 램 클럭 제원 (O.C)

 5000MHz

 

 특징

 Z490 ITX 계열에서 가장 넓은 히트싱크 탑재, 탄탈럼 폴리머 캐퍼시터 적용

부팅 테스트

 #

 데이터

 비고

 BIOS

 F3

 20.05.21일자 최신버전으로 테스트 진행

 CPU O.C

 -

 

 RAM O.C

 4600MHz 16-16-16-32 2T

 SA/IO Auto


테스트 스크린샷을 찍지를 못했다. 그러나 한계는 4600MHz로 그 이상 램 클럭으로의 부팅은 불가능했다.

LinX 0.9.6 부하 테스트

 #

 데이터

 비고

 BIOS

 F3

 20.05.21일자 최신버전으로 테스트 진행

 CPU O.C

 51배수 48캐시 1.31v

 LLC Turbo

 RAM O.C

 4400MHz 17-17-17-34 2T

 SA 1.4v / IO 1.3v (Auto)

 전력 소모량 (Peak 기준)

 319W

 



기가바이트 보드답게 램오버 설정 힘들다. 그래도 Z390 시리즈에 비해서 매우 많이 발전했다.

QVL은 4800클럭 메모리까지 지원하지만 수동 오버의 경우 4500 CL17에서 간단 안정화를 봤고, 링스 테스트의 경우 한단계 낮춰 4400 CL17에서 진행했다.


기가바이트 보드답게 LLC Turbo에서 ASUS보드의 LLC 6과 동일한 안정화 전압을 보여준다.

그러나 ASUS의 LLC 6보다는 약간 높은 LLC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따지자면 ASUS LLC 6.3정도 되는거 같다)


레이턴시의 경우 39.1ns로 굉장히 높은 수치를 보여주는데, RTL/IO-L 항목이 있으나 몇번 조정해 보았지만 적용되지 않는다.

수동조절이 가능한 상태인듯 싶지만 조절이 안된다 ㅜㅜ.. 일단 이 값은 보드가 틀어지게 잡으면 레이턴시가 늘어진다.

메모리 트레이스 수율은 Z390 팬텀 ITX 보드와 동일한 듯 싶다. RTL/IO-L 쌍은 채널 당 1씩 틀어진다. 


(내용추가) 최근 릴리즈된 바이오스 F5a 기준으로 RTL/IO-L 튜닝이 가능해져 동클럭/CL대비 레이턴시가 유니파이 ITX보다 낮다.


기타 메모리 타이밍은 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AIDA64 메모리 벤치마크 수치와 링스 지플도 타이밍 대비 준수하게 나오고 있다.


이 제품은 인텔 I225-V 랜카드를 탑재하고 있는데 랜 드라이버를 잡아주면 재부팅 후 연결이 끊기는 증상이 나타나서 랜카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이후 소개할 APEX보드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는데 장치 관리자에서 I225-V를 사용 안함 - 사용 해주니 문제가 해결되었다.


ASUS Z490 MAXIMUS XII APEX (에이펙스)

제원

 #

 데이터

 비고

 Form Factor

 ATX

 

 VRM (Vcore 전용)

 16 페이즈

 듀얼아웃풋 구성 (8리얼+8리얼), 패시브 쿨링

 램 클럭 제원 (O.C)

 5000MHz

 

 특징

 Z490 보드 중 가장 넓은 면적의 히트싱크 탑재

DIMM.2 슬롯 없이도 M.2 SSD 1개 장착 가능

부팅 테스트

 #

 데이터

 비고

 BIOS

 0069

 20.07.01일 기준 최신 베타버전으로 테스트

 CPU O.C

 55배수 52캐시 1.39v

 LLC 6

 RAM O.C

 5000MHz 16-16-16-32 2T

 SA 1.65v / IO 1.5v (Auto)



단순 최대 메모리 오버클러킹 부팅은 5000 16-16-16-32 이다. 안정화는 불가능하나 최대 포텐을 끌어볼 수 있는 메인보드임은 확실하다.

LinX 0.9.6 부하 테스트

 #

 데이터

 비고

 BIOS

 0403

 20.05.27일자 공식 최신버전으로 테스트

 CPU O.C

 50배수 47캐시 1.27v

 LLC 6

 RAM O.C

 4700MHz 16-16-16-32 2T

 SA 1.41v / IO 1.28v

 전력 소모량 (Peak 기준)

 293W

 



Z390 APEX의 명성을 그대로 이어받은 후세대 APEX 보드이다.

CPU 메모리 컨트롤러와 램 수율이 받쳐주는 만큼 램 오버클러킹이 들어가는 몇 안되는 보드이다.


RTL/IO-L을 전세대와 비슷하게 줄일 수 있으나 메모리 트레이스 수율이 향상된 모양이다. RTL/IO-L이 채널 A/B 모두 동일한 값으로 안정화가 가능하다.


기존 Z390에서 불가능하던 4700 CL16의 안정화가 가능해졌는데, 메모리 컨트롤러 수율이 좋은 편에 속해서 가능했던 것 같다.


SA/IO가 Auto값으로 둘 때 매우 높은 값으로 잡히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Z490 모든 보드에서 고클럭 메모리 오버클러킹이 들어갈 경우 발생한다.

Vcore 값과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서는 최대한 다이어트를 해줘야 하며, 안정화가 가능한 적정 값 사이클이 존재한다.


MSI Z490I UNIFY (유니파이ITX)

제원

 #

 데이터

 비고

 Form Factor

 mini-ITX

 

 VRM (Vcore 전용)

 8 페이즈

 리얼페이즈 구성, 액티브 쿨링 (25x10mm 팬)

 램 클럭 제원 (O.C)

 5000MHz

 

 특징

 폐쇄형 알루미늄 히트싱크

제원 상 Z490 Godlike 보다 RAM O.C가 더 들어감

부팅 테스트

 #

 데이터

 비고

 BIOS

 1.31

 20.08.15기준 최신 RC버전

 CPU O.C

 55배수 52캐시 1.45v

 LLC Mode 3 (Socket Sense)

 RAM O.C

 5000MHz 16-16-16-32 2T

 SA/IO Auto


LinX 0.9.6 부하 테스트

 #

 데이터

 비고

 BIOS

 1.31

 20.08.20 기준 최신 베타버전

 CPU O.C

 50배수 47캐시 1.25v

 LLC Mode 3 (Socket Sense)

 RAM O.C

 4800MHz 16-17-17-32 2T

 SA 1.48v / IO 1.3v

 전력 소모량 (Peak 기준)

 273W

 GFlops AVG 638 / MAX 653


총평

20년 6월 현재 사용해본 5000클럭이 지원되는 메인보드 중에서는 단연 APEX가 독보적 1위의 오버클러킹 포텐셜을 자랑한다.

갓라이크의 경우 RTL/IO-L을 조이더라도 레이턴시가 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어로스익스트림의 경우에는 4600정도의 안정화만 가능하다.


ITX 보드들은 대부분 5000클럭을 지원하는 것으로 스펙상 표기되어 있는데, 실제 수동오버를 통한 최대 성능 안정화 가능 범위는 4500~4600선이다.

ITX 폼팩터의 보드가 정말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굳이 선택할 이유가 없어졌다. 만약 이 중에 하나를 뽑아야 한다면 현재로써는 유니파이ITX이다.

(램 오버클러킹 관련하여 바이오스가 개선이 되면 기가바이트의 어로스울트라ITX가 오버력에서 더 우위를 점할 것이라 예상)


2슬롯 보드여서 "램 오버클러킹이 잘 된다"라고 하는 것은 옛 말이 된 듯하다. 4슬롯 보드가 T-Topology에서 Daisy-chain방식으로 거의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또,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DDR4 메모리가 4600클럭 이상의 실사용은 수율도 안될 뿐더러 일반적인 쿨링 환경으로는 힘든 것이 현실이다.


개인적으로는 극한의 오버클러킹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전원부 구성이 가장 중요하며 예쁜 보드를 고르면 된다는 입장이다. (저렴한 것은 제외)


작업용 컴퓨터를 맞추기 위해 CPU를 뽑았는데 나름 수율이 괜찮은게 걸렸다.

클럭 4400MHz CL17 램 오버클럭 뒤 CPU 전압 1.275V에 50배수 45캐시 LinX 0.9.3 벤치마크가 돌아가는 제품이었던 것..


그런데 EVGA CLC280 쿨러로는 너모나 뜨거운 9900K의 발열을 감당할 수 없었던 것이 화두...

갬성의 50배수를 박아서 써보겠다는 강력한 의지...!!! (누가 말렸어야...ㅜㅜ)



정신을 차려보니 부품이 전부 다 도착했다. (지갑이 웁니다 엉엉ㅜㅜ)

사실 제일 문제는 포세이돈이었다... 외장라디에이터를 1차 예판때 덥썩 구매해버린 찰나, 반 강제로 커스텀 수냉을 한 셈


그래도 수냉 한 김에 싹다 수냉을 하자는 마인드로... CPU 수냉, 그래픽카드 수냉, 램도 수냉블럭 씌워버렸다.

호스는 EK에서 나온 ZMT 호스를 사용했는데, 중국산 호스 커터로 잘라도 커팅 잘 된다.


근데 ZMT 호스에 바로우에서 나온 컴프레션 피팅을 체결할 때 너무 힘들었다ㅠ 손가락의 지문이 다 사라질 정도...

그래서 보면 덜조인게 은근 많이 보인다.



이렇게 1차 수냉시스템을 완성했다.


CPU블럭 - RAM블럭 간에 단차가 안맞아서 270도 빙 돌려버려서 너무 안이뻤다....ㅜㅜ

그래서... 다시 계획해서 도전!!



이번에는 직각으로 잘 뽑아서 이쁘긴 한데.. 흠 뭔가 맘에 안든다...

여전히 270도를 돌려버리니 유량감소가 있는건 여전해서... 30mm 연장피팅을 구매해서 다시 작업해보았다.



짜잔.. 드디어 최종적으로 깔끔한 시스템 완성!!



외장 라디에이터와 본체의 이동을 위해 본체 부분에 QDC (Quick-disconnect Connector)를 장착해주었다.



눈물의 수건신공... 혹시 누수되면 그래픽카드가 저세상에 가버리는 부분이니까ㅎㅎ

사진은 누수테스트를 하지 않고 컴퓨터를 켠 상태여서 수건을 받쳐놓았다.

누수테스트는 펌프에 파워만 따로 인가하고 진행하는 것을 추천. 현재는 수건을 치운 상태이다!!


이 과정에 조금 안타까운 일이 생겼다. CPU가 죽어버렸고... 고이 묻어주면서 새 친구를 입양했다.



9세대 CPU 뚜따 및 코어갈이는 신중히 하자...


기존 일체형 수냉이나 공랭의 경우에는 열이 케이스에서 방출되는 구조라서 쉽게 냉각되기 어려운데,

외장 라디에이터를 달아버리니 온도가 쉽게쉽게 내려간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커스텀 수냉으로 얻은것은.. 갬성의 51배수!!



CPU오버클럭이 끝난 후 그래픽카드 오버도 진행해보았다.

5700XT 레퍼런스가 기본으로는 27.5K정도 나오는데 실사용 가능한 수준에서 안정화를 보니 29.6K가 나온다.

1080TI 급 파스 점수다. 물론 아키텍쳐가 다르다보니 파스 점수 비교는 무의미하지만 말이다.



<54배수 50캐시 AIDA64 메모리 벤치마크 결과>


보너스로 커스텀 수냉 한 겸사겸사 내 CPU 수율이 어느정도 되는지 테스트해보았다.

나름 괜찮은 수율인 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이제 컴퓨터는 업그레이드고 뭐고 건들지 않고 5년은 쓸 생각이다...

커스텀 수냉에 최고급 그래픽카드 1대 값이 들어가버렸기 때문이다.


수로만 안터지면 최고의 시스템이지 않을까 싶다. 애정과 시간과 돈을 너무 많이 쏟아버렸기 때문ㅜㅜ


최종 수로 구성 모습이다. (Bitspower 14mm 카본동관 이용)







랩에서 사용할 키보드가 필요했는데, 이 참에 가장 저렴하게 해피해킹 배열을 쓰고 싶었다.

해피해킹 중고가 싸면 15인데 이게 이가격에 자주 뜰리도 없고.. 무엇보다도 중고거래는 스트레스의 연속이다.

또 남이 관리 안하고 쓰던 키보드를 청소하고 조립하고 윤활하는게 은근 일이다..

 

그.래.서

시켜놓고 까먹으면 와있다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DIY를 했다.

원래 기본 키트로는 110달러정도면 완제품을 살 수가 있는데, 보강판도 알루미늄이라 맘에 안들것 같았다.

 

쿨엔 키"마계"에서는 황동보강판이 인기라고.. (자꾸 쿨엔보니까 장비만 업글된다.. 끊던가 해야되는데;;)

그래서 준비했다. 저렴하게 최고의 타건감을 느껴보자고!!

 

제작에 필요했던 재료들이다.

황동보강판, GH60기반 보드, 보드와 보강판을 담아줄 케이스, 스테빌라이저, MX 스위치, 키캡

 

토탈 140달러 들었다. 결제 뜨면 16만 3천원 정도 떴던걸로 기억한다.

최저가 해피 중고보다는 비싸다만, 해피배열 키보드를 기계식으로 느낀다면 어떨까 궁금하기도 했기에.. 질러버렸다.

 

랩에서는 아무래도 타건시 소음이 크면 타랩원 작업에 방해가 될 것이 분명하기에, 축은 체리 저소음 적축으로 골랐다.

체리 축 계열에서는 청/적/흑/갈/은 써봤는데 타건감은 청이 젤 나은거같고, 갈은 뭔가 쫄깃한데 2퍼센트 부족하다.

5개 축 모두 내가 치면 다 시끄럽긴 마찬가지였고 새로운 축을 써보고싶었기땜시 새로운 도전을!!

 

재료들이다. (지스킬RGB 램은 특별출연)

 

주문한 보드는 USB-C Type을 입력단자로 채용했다. 이 부분은 참 맘에 드는듯.

 

GH60/64보드의 커스터마이즈 버전. XD60/64이다.

백릿기능이 있고 보드 퀄리티 자체가 굉장히 높아서 5달러를 더 주고도 이걸 구입했다.

 

이건 바로 황동보강판!!

스뎅도 반짝반짝하긴 하지만, 금색의 표면 처리가 넘모 맘에든다.

글고 넘 단단해서 휘지도 않음

 

체리의 MX 스위치 시리즈 중 하나인 핑크축(저소음 적축)이다.

느낌부터가 갈/청과는 확 다른게 느껴진다.

 

이건 주문한 PBT 키캡이다. 키캡 모양새 자체는 훌륭하나 안쪽 마감새는 삐죽삐죽하다.

어차피 안쪽은 볼 일이 없으니 걱정 덜고 쓰기로 한다.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를 주문했는데, 그래서인지 마제식보다 끼우기 빡센듯싶다..

글고 체리스테빌 특성상 조립을 한번 하면 윤활작업 하려면 스위치 전체를 분해해야 한다.

이걸 미리 알았으면 마제식 스테빌을 구입했을텐데 말이지.

 

스태빌에는 믹스그리스를 발랐다.

스태빌에 적용가능한 아주 스탠다드한 구리스다.

 

키 레이아웃을 다 맞추고 키를 꽂았다.

근데 이 시점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보강판을 2U shift짜리를 시켜놓고 키캡은 2.25U를 주문했다... 이런;

또 6U 스페이스바를 지원 안하네.. 어찌저찌 사용은 할 수 있도록 하단 모디열 구성을 바꿔야 했다.

 

다음은 납땜이다.

60키여서 총 120포인트 땜질 해야한다. 한숨부터 쉬고 시작했다.

 

무연납을 쓰고팠는데 싸구리 인두기로는 무연납 녹이기가 증말이지 힘들다.

별도 플럭스 없으면 그냥 못녹인다 보면 됨. 그래서 일반 납 사용했다ㅠ

 

땜질 전공이 아니라 땜질은 못한다..

여차저차 120포인트를 다 하고 나니 정신이 오락가락한다.

 

케이스에 조립해 보았다. 깔쌈하고 영롱하다.

예산을 좀 더 넉넉하게 잡았으면 케이스를 나무로 바꿀 수도 있었는데 LED를 버려야 하는 아까움이 있다.

 

전원 인가!!

디폴트값은 흰색 라이트가 8개 다 들어온다.

eep파일과 hex파일을 라이팅해야하는데 이 보드는 tkg.io에서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출고 전 납땜 QC문제

참 안타까운건 레이아웃 입히고 타건하다가 모디열 키 하나가 안눌리는 현상을 발견했다.

잘 찾아보니 D60쪽에 다이오드 하나가 공장에서 너무 밀려 땜돼서 접촉이 안되는 상태였던 거다.

그래서 케이스에서 풀고 다시 납땜해주니까 잘 된다. (QC가 왜이런갑쇼.. 중국이라 그러려니 했다)

 

모두들 기대할거라 생각하는 키보드 사진이다.

 

잘 보다시피 보강판의 뻥 뚫린 부분은 투명 시트지로 막았다.

원가절감의 측면에서...ㅋㅋㅋ 나중에 아크릴 깎아서 덮는 케이스를 만들 생각이다.

 

뒷면에는 LED가 들어온다. 원래는 12개인데 펌웨어를 올리고 나니 6개만 들어온다 ㅡ ㅡ

나중에야 알았는데, XD60 보드의 버전이 총 3개고 내가 산게 버전 3짜리다. 알리에 올라와 있는 펌웨어는 버전 2짜리였던것!!

QMK Configurator를 이용해서 3.0 버전을 업로드하니까 12개 LED가 모두 잘 들어온다.

 

어케보면 키보드를 담고 있는 케이스가 너무 싸보여서 그런지 10만원도 안할 것 같은 키보드가 됐다만..

내가 원하던 키감이 엇비슷하게 나왔다.

가벼우면서도 부담이 가지 않고, 기존 체리 MX 스위치들에 비해 소음이 적다.

표현하자면 해피해킹 타입스의 가벼운 버전?? (첨에 쳐보다가 이게 뭔느낌이지 비슷하다 싶었다)

 

12색 펌웨어까지 모두 올라간 키보드다.

오른쪽 키캡 잘못 시켜서 안맞는거는 시켜놓긴 했는데, 언제쯤 오려나 싶다~~

 

타건음은 아래 영상에서 들을 수 있다.

 

속닥키노's Custom Keyboard Mark I (150K) 타건영상

2배속 아니다

사실 커스텀보다는 DIY에 가깝긴 한데 내가 원하는 구성으로 조합이 가능하면 그게 커스텀 아니겠나 싶당.

 

---

혹시 나처럼 이 보드를 구매해놓고 같은 문제를 겪었다면 TKG가 아닌 QMK로 설정해서 펌웨어 올리면 완존 편함 그 자체다.

QMK Toolbox

아래는 내가 커스텀해놓고 사용하고 있는 레이아웃과 파일이다(Rev.2). 필요하신 분들은 사용하심 됩니당.

 

19.04.21 Layout revision 2

Shift+방향키 시 블록드래깅이 적용되지 않아서 이를 해결한 레이아웃입니다.

Layer 2 레이아웃 진입 시 키가 변경되었습니다. (Shift -> Right alt)

 

2번 레이어 (Fn+Right Alt)
1번 레이어 (Fn)

 

기본 배열
hhkb_sokdak_rev2.json
0.00MB
xd60_rev3_hhkb_sokdak_rev2.hex
0.07MB

 

QMK Toolbox로 플래시하려면 Hex파일 받으면 되고, 배열 수정이 필요하다면 json 파일을 사용하면 되겠다.

 

---

2만원 더 추가해서 키캡놀이와 레이아웃을 변경했다.

 

로지텍 G933을 아마존으로부터 구입했다. 물론 기프트카드 프로모션으로 15달러가 당첨되어 저렴하게 구매했다는 이야기다.

49달러짜리 리퍼를 구매하려다가 복불복이라는 말이 너무 많아 포기했다.



상자의 모습. 제품은 항상 밀봉되지않은 비닐에 쌓여서 온다.

커세어 HS70을 받을 때는 밀봉된 비닐에 쌓여서 왔다는 차이가 있다.



새 제품이라 패키징조차 고급스럽다.





패키징의 뒷면이다. 밑부분을 제외한 3부분에 밀봉 씰이 붙어있어 개봉된 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패키지를 오픈하면 헤드셋이 뙇 보인다.



어쩌다 보니 사용하는 장비들이 다 같이 나왔다.

패키징의 구성은 USB케이블, 3.5파이 케이블, RCA케이블, 헤드셋이다.

동글은 헤드셋 내에 포함되어 있다.



로지텍 G Pro 무선 마우스와 투샷



로지텍 게임 소프트웨어를 통해 헤드셋에 RGB Effect를 부여할 수 있다.

알록달록해서 색깔이 참 이쁘다. 블랙보다는 화이트가 가격방어가 잘 된다고 한다.


구매한지 1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사용감은 아주 좋다.

헤드레스트 조절이 조금 느슨한 문제가 있는것 같은데, 착용 후에는 전혀 밀림도 없고 괜찮았다.

DTS 7.1, Wide로 설정하니 배그할때 방향이 HS70과 G430에 비해 너무 잘 들린다.. 역시 헤드셋계 끝판왕 답다.


---- 19/01/12 내용추가: RX580을 사용한 eGPU 구축 

---- 19/03/02 내용추가: Windows 10 빌드1809에서 RX580을 사용한 eGPU 구축

---- 19/03/18 내용추가: eGPU 인클로져 내의 스토리지로 부팅하고 AMD 그래픽카드로 배틀그라운드 플레이하기

---- 19/05/24 내용추가: macOS Security Update 2019-003 설치 이후 인클로져 스토리지 부팅 불가

---- 19/06/28 내용추가: Windows 1809 설치방법 재구성 및 실사용 성공

---- 19/07/20 내용추가: AMD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다운그레이드로 윈도우 업데이트 정상적으로 가능


아.. 솔직히 이 포스팅을 적어야 할지 많은 고민을 했다.

왜냐하면 macOS에서 삽질한 정도보다 훨씬 쉽게 인식을 해서 말이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한정)


여러 커뮤니티를 보면 썬볼3 브릿지 하나를 disable해야 내장이 나온다 어쩌구

연결해도 안되더라 뭐 이런 이야기들이 진부했는데 난 정말 깔끔하게 끝났다.


나의 eGPU를 위한 Bootcamp 설정 과정은 이러하다.

1. Windows 설치 (via Boot Camp Assistant)

2. 드라이버 설치 및 시스템 종료

3. eGPU연결

4. Windows로 부팅

5. 출력된 모니터로 드라이버 설치

6. 시스템 종료 및 eGPU 제거

7. 부팅 시 Windows 동그라미 빠르게 1번 돌고나서 eGPU 연결

8. 사용 가능


정말 간단하다. 맥은 엄청난 삽질을 했는데 윈도우는 위 절차를 따르면 외장,내장 다나온다..

부트캠프 단순 부팅도 eGPU없이 잘 된다.


자, 또 빼먹어선 안될 벤치마크 순서이다.



파스 점수는 1060 논오버 점수인 13000점에서 약간 밑도는 11000점 정도이고, 오버 때리면 그냥 1060 성능 나온다.

(정말 발군의 성능... 이지퓨쓰면 지퓨 성능 70~80%밖에 안나온다는 사람 어디갔어!!!)





장치관리자에서 정상적으로 물려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나, 썬더볼트 컨트롤러에 잘 물려있는 모습!! (PCIe Controller x4)



파스를 돌리는 겸 온도체크를 위해 GPU-Z를 썼다.



모니터 3개가 전부 정상적으로 출력 가능하다.

물론 연결하는 타이밍만 잘 맞추면.



마미손?!



배그 대기실에서 101프레임 정도 뽑아주신다.

옵션도 전혀 타협안하고 쓰던대로 썼는데 프레임 떨어지는 느낌이 하나도 없다.



배그 켰을 때 온도다.

eGPU 온도가 문제가 아니고 CPU온도가 문제다. 아무래도 랩탑이다 보니 발열은 어쩔 수 없는 듯.



요건 아이들시 온도. 참고용!!



비행기 136프레임 나온다. 정말 잘나옴..

(옵션: 텍스쳐, 거리보기, 안티 울트라 외 전부 최소 옵션)


결론은 대성공이다.

배그 자체를 노트북 환경에서 충분히 즐길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충분한 기술 발전이 이뤄졌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대신 문제는 온도... 정말 저 온도 보고있자니 내 맥북이 망가질 것 같아 맘이 넘 아프다...ㅜㅜ


(아래부터는 AMD 그래픽카드 한정으로 설정 방법입니다.)


---- 19/01/12 내용추가: Windows 10 빌드1809에서 RX580을 사용한 eGPU 구축


AMD RX580을 친구로부터 구했다. 맥에 사용해 보려고 (그렇게 잘 붙는다길래)

그런데 정말 정직하게도 '맥'에만 찹쌀떡마냥 잘 붙는다. 윈도우는 그냥 어떤 방법을 써도 내장이 죽어버리는 문제가 ㅠㅠ


잡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1. Bootcamp로 윈도우 설치 (via Bootcamp Assistant)

2. 드라이버 모두 설치하고 재부팅

3. AMD 사이트에서 글카 드라이버 다운받고 압축풀기 (설치 X)

4. 무선인터넷 자동연결 해제

5. egpu를 핫 플러긴하고 디바이스 잡힌거 드라이버 수동 설치 (장치관리자 - 드라이버 업데이트 - packages내 드라이버 폴더 지정)

6. AMD 글카 잡힌거 확인

7. 연결한 채로 재부팅

8. 내장 그래픽 코드 43으로 오류나면서 내장 사용 불가하고 코드 43, 터치바 사용 불가. 나머지 사용 가능.

9. 외장 글카 출력 정상이니까 이제 사용하면 됨

* 외장 글카 셋업 한번 진행하면 egpu없이 윈도우 부팅이 불가함 (화면 표시가 안됨)


DSDT override하는 방법도 있긴 한데 적용하면 egpu없이 부팅만 가능할 뿐 핫플러그인 작동 안함, 내장글카 사용 불가, 터치바 사용가능.




---- 19/03/02 내용추가


Windows 1809 (최신 빌드)에서는 AMD eGPU환경에서 배틀그라운드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빌드 순서를 조금 달리해서 설치하니 해결됨


이전과는 다르게 터치바도 잘 작동하고, dGPU(Radeon Pro)만 작동하지 않는다.


1. Windows 설치

2. Bootcamp driver 설치

3. DDU로 그래픽 드라이버 삭제

4. 시스템 종료하고 AMD eGPU연결

5. bootcampdrivers.com에서 드라이버를 받고 설치 [중요]

6. 화면이 black-out될 수 있는데 약 5분 정도 대기 후 강제종료/재부팅, 정상이라면 그냥 재부팅

7. AMD eGPU에 연결된 모니터만 정상 출력되는데, 장치관리자에서 PCIe Controller (x16)을 비활성화 [중요]

8. 배틀그라운드가 잘 실행되는지 확인


최신 드라이버에서 장치 충돌이 발생하는 것 같다. 계속 BSOD (KERNEL_SECURITY_CHECK_FAILED)가 발생하여 실행되지 않음.



---- 19/03/18 내용추가: eGPU 인클로져 내의 스토리지로 부팅하고 AMD 그래픽카드로 배틀그라운드 플레이하기

(엔비디아 & AMD 그래픽카드 공통, AMD 그래픽카드 기반 설명)


필자는 게임을 하되 내장그래픽으로 돌릴수도 없는 게임과 관련 소프트웨어가 맥북 내부에 설치되는것을 원치 않았다.

용량 낭비같기도하고... 파티셔닝된 윈도우만 해도 60~120기가씩이나 되니 말이다.

맥북을 512기가를 사놓고 낭비를 하는것은 내 입장에서 너무나 싫다. (차라리 1TB를 샀으면 이런 걱정을 안할 것을...)


다른 방법(iGPU활성화 및 eGPU-iGFX 가속)으로 내장까지 출력이 가능하도록, 내장 디스플레이로 eGPU를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 방법은 EFI bootloader를 바꿔야 하며 나는 그럴 생각이 없었다.

최대한 설치하는 Windows에서 tricky한 방법을 사용하고 싶었다.


혹시나 OMEN Accelerator 환경에서 인클로져 내장 Storage로 부팅하며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eGPU를 사용하려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남긴다.

나도 참 많은 삽질을 했지만.. 가능하다면 방법을 알려야지.

이 방법은 eGPU 인클로저 내부에 Storage 기능이 지원되는 모든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배틀그라운드 플레이를 위한 방법이기 때문)

배틀그라운드를 플레이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7번의 사항을 제외하고 윈도우 업데이트를 할 수 있도록 진행하면 된다.

eGPU에 연결된 외장 모니터만 사용이 가능하고, 외장 모니터가 없는 경우 아래 방법은 진행이 불가하다.


1. Parallels등의 가상화 솔루션을 통해서 윈도우를 설치하고 Windows 10 1809 (최신)빌드와 1803빌드를 받는다.

   맥 환경에서 Bootcamp Assistant를 이용해 윈도우용 드라이버를 다운받고 DDU와 AMD 드라이버 최신 버전을 다운받는다.

2. 가상화 솔루션의 USB redirection기능을 이용해서 인식된 eGPU 인클로져의 USB Storage를 가상 머신에 리디렉션한다.

3. rufus를 이용해서 Windows To Go를 인식된 디스크에 설치한다.

4. Windows 1809부터는 UASP 스토리지로부터의 부팅에 문제가 있다.

   (Reference: https://www.tenforums.com/general-support/123835-1809-windows-go-still-broken.html)

   그러므로 1803빌드의 WppRecorder.sys를 DISM를 통해 추출해야 한다.

   WppRecorder.sys의 경로는 Windows\System32에 존재한다.

5. WppRecorder.sys를 Windows To Go가 설치된 파티션 내에 System32로 복사한다.

   이 때, 권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파일 소유권을 TrustedInstaller로부터 이전 후 권한을 부여하면 덮어쓸 수 있다.

6. 윈도우로 부팅한다. 단, 이후 진행 작업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안되므로 랜선이 연결되어 있다면 제거한다.

7. OOBE가 끝나고 바탕화면이 나오면 gpedit.msc를 입력, Windows 관리에서 Windows update의

   "자동 업데이트 구성"을 사용 안함으로 설정한다. [선택]

8. Bootcamp driver를 설치한다. 대부분의 드라이버는 잘 설치되는데, Apple Virtual USB Controller에서 설치를 멈춘다.

   USB 컨트롤러가 초기화를 해야 하는데, 컨트롤러 아래에 메인OS가 설치된 드라이브가 있기 때문에 hangup이 발생하는 것.

   5분 정도 기다렸다가 더 이상 프로그래스 바가 움직임이 없다고 생각되면 강제종료(전원버튼 꾹)한다.

   혹시나 화면이 나갔다면 약 10분 정도 두고 강제종료한다.

9. 부팅을 시도하고 화면이 안들어오면 계속 강제종료한다.

   3회 강제종료 후 윈도우로 부팅을 시도하다 보면 복구 도구로 진입되는데, 이때 안전모드로 진입한다.

10. DDU로 그래픽 드라이버를 제거한 후 리부팅한다.

11. 최신 AMD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압축 해제한다. (엔비디아의 경우 11~13과정 무시하고 드라이버 패키지 실행 후 설치)

12. 장치 관리자를 통해 압축 해제한 폴더에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직접 설치한다. (패키지 설치파일로 설치 불가)

13. 폴더 내 설치파일 중 ccc2_install.exe가 있는데 이를 실행하여 설치한다. (AMD Settings)

14. 외장모니터 출력이 정상적으로 된다. 이제 인터넷을 연결하고 사용하면 된다.

15. 장치 관리자를 보면 알 수 없는 장치 3개만 남은 것을 볼 수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아니면 드라이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Apple T2 Chip, NVMe controller, NVMe storage로 총 3개이므로 내장 SSD를 사용하고 싶다면 폴더를 지정해

   NVMe Controller만 수동으로 설치해주면 된다.


[중요] 배틀그라운드의 BattleEye 솔루션이 게임 시작 시에 특정 환경에서 블루스크린을 뜨게 하는데,

        윈도우 업데이트를 시도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배틀그라운드를 할 거라면 절대로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지 말 것.


[중요] GPU0에 우선순위가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장치 관리자에서 시스템 장치 > PCIe x16 컨트롤러를 비활성화한다.

        사용할 수 없는 GPU를 사용하려고 하는 문제가 가끔 씩 존재하는 듯 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차원임.


매번 문제 생길 때 마다 다시 이 작업을 하기 너무 힘드니까, 고스트(Ghost64)로 백업을 해 놓는 것을 추천한다.

단, UEFI환경에서 고스트는 부트로더를 복원하지는 못한다.

bcdboot를 통해 boot entry를 만들어 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함. (마지막 파티션이 EFI 파티션이므로 참고할 것)


이제 한동안 eGPU를 건들 일은 없을 것 같다. 약 3주간 안정적으로 잘 작동하고 있고 게임 성능도 출중하다.

모두 원하는 구성으로 eGPU를 사용하시기 바란다. 끝.


---- 19/05/24 내용추가

현재 2018년형 맥북 기준 Security Update 2019-003을 설치 시 eGPU 인클로져 내에 설치된 스토리지에서 OS를 읽어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해결 방법은 확인 중에 있음.


맥북 펌웨어 업데이트가 함께 진행된 패치인데, Bootable USB Configuration 관련 설정이 변경되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단 부트캠프를 내장 SSD내에 작은 용량으로 설치해서 사용중.


---- 19/06/28 내용추가

기존 빌드가 정상작동 하지 않는 탓에 테스트빌드, 1903 모두 시도해보았는데 게임마다 프레임도 불안정하고 배틀그라운드가 아예 안켜진다. (블루스크린)

그래서 기존 1809빌드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시도해서 성공했다.


1. 3/18 추가내용대로 진행

2. 단, 드라이버 설치 시 이더넷 연결하지 않고 부트캠프의 칩셋 드라이버만 설치 (Intel/Chipset)

3. 장치 관리자에서 PCI Express Controller x16 비활성화

4. Bootcamp 드라이버 설치

5. 설치 중 x16이 다시 살아나면, 즉시 사용안함 설정 (RP560X를 설치하지 않기 위함)

6. 안잡힌 드라이버는 수동으로 잡아주기

7. AMD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새로운 방법으로 설치한 것이 정상적인지, 파스 점수도 정상적으로 집계된다.



---- 19/07/20 내용추가

윈도우 업데이트가 배틀그라운드 BattleEye서비스와 충돌이 있는 것으로 예상했는데, 구 드라이버 + 최신 빌드 (1903)으로 플레이가 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AMD 그래픽 드라이버 (Adrenalin 19.1.1)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고 설치하면 배그가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이로써 윈도우 업데이트 문제도 해결되어서 골든 빌드 완성!!


사양

MacBook Pro 15' 2018 (i7-8850H, Radeon RP560X)

HP OMEN Accelerator GA-1029kl (Thunderbolt 3)

Sapphire RX580 8GB NITRO+

Samsung 850 EVO 256GB (as OS Drive)


일주일 전, 친구의 뽐 넣음으로부터 이기지 못하고 2018년형 맥프레 15인치를 구입했다.

2018년형 고급형에 달려있는 CPU는 i7-8850H로 성능이 출중하다는 이야기가 메인이었다.

벤치상으로는 집에서 게이밍 데스크탑으로 사용하는 컴터의 시퓨인 i7-6700보다 좋다는 것.


여튼, 정말 정신 나간 생각인지 모르겠지만 CPU성능이 출중한 맥북느님으로 배그를 해보고 싶었다.

eGPU 인클로져들은 그래픽카드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최대 레인수인 PCI-e@3.0x16의 1/4토막밖에 지원되지 않는다.

그나마 Thunderbolt3로 넘어와서야 3.0x4속도를 지원하는 것이다.


그래픽카드의 접속부를 x8로 개조해도 프레임차이가 약 1~2정도 밖에나지 않는다는 점을 벤치 등을 통해 미리 접했던 나는

x4야 얼마나 차이가 많이 나겠어 라는 생각을 했지만 정말 차이가 많이 나더라.. 고해상도/고주사율 조건 거의 1/2토막 수준


하지만, 내가 즐기는 게임은 배그고 집에서도 100프레임 정도에서 놀았으니 아무렴 어떤가.

덥썩 질러버렸다. HP 오멘 엑셀러레이터... 아이고 내돈..


(누가 말려주지 그랬니..)


여튼 일단 구매했으니 사용은 해봐야겠지.

연구실로 가져가서 바로 뚝딱뚝딱 셋업했다.



이 인클로져는 신기한게 내부에 HDD도 장착할 수 있다..!!

그래픽카드는 집에서 사용하던 GTX1060 6GB를 장착했다. 기껏 해야 80%성능 낸다는데,

내가 돌리던 옵션은 100프레임도 훨 높게 나왔으니 60이상만 나와주면 감사.




거참, 더럽게 크다... 크기가 뭔 본체만하다.

그나마 이 인클로져 이점이 ATX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해서 다른 파워로 교체가 용이하단다.

이 제품도 양품이 아닌건지 전원 인가하니 서플라이에서 이상한 소리가 난다.. 교환을 받을 생각이다.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간다.

현 시점에서 macOS Mojave (10.14)이상의 버전에서는 엔비디아 글카 절대 못잡는다. 포기해야 함.

> AMD eGPU를 사용하려는 분들은 핫플러그인과 네이티브 드라이버가 지원되므로 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망할 드라이버 지원때문에 다 엎고 High Sierra로 다운그레이드했다.

다운그레이드 시점부터 재판매 욕구가 올라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커뮤니티에서 많이들 성공하셨다는 macOS-eGPU.sh를 사용했다.

근데 이것도 그냥은 지원이 안되고 --beta 옵션과 드라이버 버전을 줘서 설치해야한다. (!(@*#&(*@!&)

설치하고 화면은 켜지는데, chrome과 geekbench, hyper등 내가 메인으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전부 실행이 안된다.

그러니까 실행이 안되기보단, 실행은 되는데 초당 프레임이 1 미만으로 바닥을 쳐주신다.

이때 선 뽑고 다시 포장하기 직전까지 갔다.


하지만 명색이 컴공 컴돌이니 이쯤은 어떻게든 해결해야겠단 생각에 정신줄을 잡았다.


egpu.io 커뮤니티에 올라온 purge-wrangler.sh 를 사용해서 다시 설치를 진행했다.

여전히 증상은 매한가지였어서, 이건 장님인 심봉사 눈뜨게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것 같아서 그냥 포기하려던 찰나

egpu 인클로져가 핫 플러그는 되는데 제거는 꺼야만 된다고 해서 켜진 상태에서 tb3 케이블을 연결했다.

이때, black screen issue가 있는데 이건 로그아웃하고 다시 로그인하면 없어진단다. 그래서 바로 진행.

화면이 다 들어왔고, 설마 하며 hyper를 실행해 봤는데 문제가 없다!! 만세~~



잘 됐으니 벤치는 돌려봐야겠지?


dGPU(내장 GPU)/eGPU순 LuxMark 테스트 결과이다.







결국 완성했다.

그런데 제일 큰 난관이 남았다. 부트캠프에서 egpu잡기가 맥에서 잡는 것보다 1000배 어렵다고 하는데

시간 날 때 다시 한 번 도전해 봐야겠다.

필자는 원래 HHKB를 사용하는 유저이다.

근데 왜 좋은 무접점 냅두고 마제스터치를 갑자기 커스터마이징하냐? 라고 묻는 사람들이 있다.


내 책상에는 2개의 키보드가 있다. 리듬게임 용도의 큐센 K5000, 기타 general purpose의 HHKB인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굳이 2개의 키보드를 스위칭해가며 쓸 이유가 있나 싶던 것이다. (미관상 구림)

임시방편으로 동생 컴을 맞춰주며 키보드를 필자가 쓰던 마제를 줘버렸는데, 리듬게임 하는데에 기계식만한

장비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오테뮤 청축 키보드와 바꿔치기!! (나쁜넘ㅋ) 해서 가져왔다.



2년간 사용하면서 청소를 안해도 너무 안해준 듯 하다...




오 마이 갓... 대충 먼지 청소기로 훑어준다.




조금 깔끔해졌다 ㅋㅋ




사실 마제스터치 분해는 이번이 처음이다. 무상 기간이었던 재작년까진 멀쩡했고, 그 뒤엔 만질 새도 없었으니ㅎㅎ


마제스터치2는 철제 보강판을 통해 스위치가 보드에 삽입되어지는 형태이다.

물론 납땜도 되어 있으니 desoldering 작업은 필수가 되겠다.




하우징을 완전히 분리하면 이런 형태이다. (보강판 + 스위치 + microboard)




핵심은 방향키를 이 4개의 청축으로 교체할거다. (체리MX 보강판용 청축)

결국 욕심나서 다른 스위치도 다른걸로 교체하긴 했지만..ㅎㅎ




desoldering 작업이다.

인두기는 일반 60W짜리 터보인두기이고, 솔더윅과 소량의 무연납이 핵심 아이템인듯 하다.

플럭스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긴 하지만..ㅎㅎ 있으면 좋다!!




방향키를 제거했다.

제거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desoldering 해주고 스위치 틈을 일자드라이버 이용해서 들어 올려주면 된다.




영롱하다... 청축짜응 ㅎㅎㅎㅎ

역순으로 보드에 soldering해주면 완료!!




어쩌다 욕심이 나서 다른 스위치도 교체했다.


엄지로 눌러서 비교적 키압이 높아야 할 것 같은 스페이스바는 흑축,

ESC, Backspace, Enter, F5처럼 뭔가 state를 변화시키는 키는 청축,

control과 WASD는 게임용으로 적축




구매한 키캡을 끼워 보았다. 예쁘네.